Tuesday, February 24, 2015
설득을 이기는 설명의 힘. 중에서
+ 당신은 제대로 설명하고 있을까?
- 우리는 사실을 생산하지 않고 존재하는 사실들을 분류하고 정리하며 여기에 정보력과 확신을 불어넣는다.
- 설명은 창의적인 행동이면서 있는 사실을 유용하고 정보력이 있으며 기억에 남을 만한 아이디어로 바꾸는 행위이다.
- 통찰력은 눈앞에 놓인 것에 대해 새로운 무엇을 발견하는 것이 아니라 꾸준히 관찰하는 과정을 통해 저절로 생기는 것입니다. 제가 보기에 이런 관찰은 역사학자뿐 아니라 시인이나 화가에게도 중요합니다.
- 설명은 사실을 알기 쉽게 묶는 것이다.
+ 당신의 설명이 실패하는 이유
- 이후 디피카가 과시가 아닌 다른 사람을 똑똑하게 만드는 능력을 보여줌으로써 전문가에게 인정을 받는 쪽으로 선회한 것은 말할 필요도 없다.
- 그래서 설명을 잘하는 사람은 효율성보다는 질문에 숨겨진 의도를 파악하며 답을 하려고 한다. 예를 들어 "이게 뭐야?"라는 질문을 "내가 왜 이런 일에 관심을 가져야 해?"와 같은 질문으로 생각하는 것이다.
- 제대로 된 설명은 상대방에게 이해할 수 있다는 믿음을 준다. 좋은 설명은 충분히 이해 할 수 있다는 자신감을 심어주지만 형편없는 설명은 자신감을 떨어뜨리거나 아예 없애버린다.
+ 맥락
- 맥락으로 초보자를 이해시켜라.
- 파울로는 곧 깨달았다. 갑자기 학장 시절의 수업 시간이 떠올랐다. 그는 똑같은 내용을 한 번 이상 배웠지만 개의치 않았다. 같은 내용을 교수마다 다른 관점으로 접근했고, 그럴 때마다 그는 이미 이해한 내용을 다시 한 번 확신할 수 있었다. 기초를 반복하는 것은 학습의 중요한 과정 중 하나다.
+ 제약
- 우리의 뇌는 거의 무한대의 가능성을 지닌 신경의 연결로서, 우리가 의식할 필요가 없는 것을 걸러내는 데 많은 시간과 에너지를 소비한다. 그래서 사람들은 효율성을 창조성보다 우선하게 된다.
- 거르기 작업은 매우 중요하다. 만일 프레진테이션을 거르지 않는다면 청중은 부정적으로 반응할 것이다. 왜냐하면 여러분은 청중에게 가장 중요한 메시지를 파악하도록 일을 시킨 셈이 되기 때문이다.
+ 설명 대본 준비하기
- 스토리는 규칙이 아니라 원칙에 관한 것이다. 규칙은 "여러분은 반드시 이런 방법으로 해야만 한다."고 말한다. 원칙은 "이런 방법이 효과가 있으며 ... 기억이 미치는 한 항상 그래왔다."고 말한다.
+ 커먼크래프트가 가르쳐준 것들
- 물론 짧은 시간 동안 세부적인 내용을 모두 담을 수는 없다. 우리는 이를 인정하는 대신에 3분이란 시간 동안 무관심을 관심으로 돌려서 앞으로 더 발전할 수 있는 여지를 마련했다.
Subscribe to:
Posts (Atom)