Friday, January 23, 2015
반 고흐, 영혼의 편지 중에서 (3)
+ 세상에 진 빛
- 서두를 필요는 없다. 그것이 문제는 아니니까. 그러나 될 수 있으면 정기적으로, 집중하면서, 핵심에 접근해서, 완벽한 평온과 안정 속에서 작업을 계속해 나가야 한다.
나는 이 세상에 빚과 의무를 지고 있다. 나는 30년간이나 이 땅위를 걸어오지 않았나! 여기에 보답하기 위해서라도 그림의 형식을 빌어 어떤 기억을 남기고 싶다.
+ 젋은 화가의 아버지, 밀레
- 대중의 인기 문제라면, 몇 년 전 르낭에서 그 주제를 다룬 글을 읽은 적이 있다. 지금도 그 내용을 기억하고 있으며 전적으로 찬성한다. 즉, 훌륭하고 유용한 일을 해내려는 사람은 대중의 승인이나 평가를 기대하거나 추구해서는 안 되며, 열정적인 가슴을 가진 몇 안되는 사람들의 공감과 동참만을 기대해야 한다는 것이다. 어쩌면 불가능한 일인지 모르지만.
+ 화가는 캔버스를 두려워하지 않는다.
- 진정한 화가는 캔버스를 두려워하지 않는다. 오히려 캔버스가 그를 두려워한다.
-->
진정한 연구자는 논문을 두려워하지 않는다. 오히려 논문이 그를 두려워한다.
+ 네 자신을 즐겨라
- 내가 가장 불안하게 생각하는 점은, 글을 쓰려면 공부를 더 해야 한다는 네 믿음이다. 제발 그러지 말아라, 내 소중한 동생아. 차라리 춤을 배우든지, 장교나 서기 혹은 누구든 네 가까이 있는 사람과 사랑을 하렴. 한 번도 좋고 여러 번도 좋다. 네덜란드에서 공부를 하느니 차라리, 그래 차라리 바보짓을 몇 번이든 하렴.
+ 모두가 낯설게 보인다
- "소설가에게는 소설을 통해 자연을 더 아름답고, 더 단순하며, 훨씬 큰 위안을 줄 수 있게 과장하고 창조할 자유가 있다"고 씌어 있다. 그 다음에 "재능은 오랜 인내로 생겨나고, 창의성은 강한 의지와 충실한 관찰을 통한 노력으로 생긴다"라는 플로베르의 말이 의미하는 것에 대해 쓰고 있다.
+ 나에겐 그림밖에 없다.
- 누가 뭐라고 해도, 내가 그림을 그린 캔버스가 아무것도 그리지 않은 캔버스보다 더 가치가 있다. 그 이상을 주장하고 싶지는 않다.
-->
내가 쓴 논문이 아무것도 없는 A4용지보다는 더 가치가 있어야 한다.
+ 내 영혼을 주겠다.
- 만일 우리가 약간 미쳤다면, 그래서 어떻단 말이냐? 우리는 붓을 이용해서 온갖 혐의에 반박하는 철저한 예술가 아니냐?
-->
만일 우리가 약간 미쳤다면, 그래서 어떻단 말이냐? 우리는 논문을 이용해서 온갖 혐의에 반박하는 철저한 연구자 아니냐?
+ 죽음의 이미지
- 가정이 너에게 의미하는 것이, 나에게 흙, 풀, 노란 밀, 농부 등 자연이 갖는 의미와 같기를 바라는 것이었다. 바꿔 말하면, 너에게 가정이 사랑하는 사람을 위해 일할 이유가 될 뿐 아니라, 필요할 때는 너를 위로하고 회복시켜 주는 것이기를 바란다는 말이다.
+ 소박한 사람들에게 말을 거는 그림
- 고갱과 베르나르에게도 썼지만 나는 화가들의 의무가 꿈꾸는 것이 아니라 사고하는 것이라고 생각한다.
-->
연구자의 의무는 꿈꾸는 것이 아니라 사고하는 것이다.
Wednesday, January 21, 2015
반 고흐, 영혼의 편지 중에서 (2)
+ 나를 감동시키는 그림
- 예술은 질투가 심하다. 가벼운 병 따위에 밀려 두 번째 자리를 차지하게 되는 건 좋아하지 않는다. 이제부터 예술의 비위를 맞추겠다. 조만간에 좀더 흡족할 만한 그림을 받아보게 될 것이다.
-->
'논문'은 질투가 심하다. 가벼운 병 따위에 밀려 두 번째 자리를 차지하게 되는 건 좋아하지 않는다. 이제부터 예술의 비위를 맞추겠다. 조만간에 좀더 흡족할 만한 '논문'을 받아보게 될 것이다.
- 인물화나 풍경화에서 내가 표현하고 싶은 것은, 감상적이고 우울 한 것이
아니라 뿌리 깊은 고뇌다. 내 그림을 본 사람들이, 이 화가는 깊이 고뇌하고 있다고, 정말 격렬하게 고뇌하고 있다고 말할 정도의 경지에 이르고 싶다. 흔히들 말하는 내 그림의 거친 특성에도 불구하고, 아니, 어쩌면 그 거친 특성 때문에 더 절실하게 감정을 전달할 수 있을지도 모른다.
- 그것이 나의 야망이다. 이 야망은 그 모든 일에도 불구하고 원한이 아니라 사랑에서 나왔고, 열정이 아니라 평온한 느낌에 기반을 두고 있다.
- '끈질기다'는 표현은, 일차적으로 쉼없는 노동을 뜻하지만 다른 사람의 말에 휩쓸려 자신의 견해를 포기하지 않는 것도 포함한다.
- "나에게 뒤프레에 대해서 말하지 말게, 차라리 도랑의 둑에 대해 말하는게 낫지. 지나치게 들릴지 모르지만 사실이 그렇다네. 사물 자체에 대한 느낌, 현실에 대한 느낌은 그림에 대한 느낌보다 훨씬 더 중요하네. 그것이 더 생산적이고 더 많은 영감을 주거든."
-->
'해결하고자 하는 문제' 자체에 대한 느낌, 현실에 대한 느낌은 (다른 사람의)논문에 대한 느낌보다 훨씬 더 중요하네. 그것이 더 생산적이고 더 많은 영감을 주거든.
+ 꿈틀대는 색채의 힘
- 해야 할 중요한 일이 있다면 몸을 사려서는 안 될 테니까. 잠시 탈진해서 보내는 시기가 올지라도 그건 곧 지나갈 테고, 마치 농부가 작물을 수확하듯 아주 자연스럽게 많은 작품을 얻게 될 것이다.
+ 자연이 주는 감동
- 밀레의 편지에도 늘 그가 봉착한 여러 문제가 보이지만 "그럼에도 나는 이러저러한 일을 꼭 해야 한다"는 말과 함께 일을 해 나 갔고, 꼭 해야 한다고 생각하는 일은 무슨 일이 있어도 해냈다.
:
밀레의 감동적인 면은 " 그럼에도 나는 이런저런 일을 꼭 해야한다"는 분명한 태도이다.
- 내가 낭만적인 환상에서 벗어난 후에 그림을 시작하게 된 건 정말 다행이다.
-->
내가 낭만적인 환상에서 벗어난 후에 '결혼'을 하게 된 건 정말 다행이다.
+ 풍경이 나에게 말을 걸었다
- 내가 포착하고 싶은 건 바로 그런 것인데. 그것이 불가능하다면 할 수 없겠지만, 어떻게 해야 할지 모를 뿐이라면 계속 노력해 나갈 것이다.
+ 삶과 예술의 규칙
- 깊이 생각하고 늘 신중하려고 노력하는 것이 바람직한 까닭은, 그런 자세가 우리의 에너지를 집중하고 다양한 행동을 하나의 목표로 모아주기 때문이다.
- 위대한 일이란 그저 충동작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아니라 연속되는 작은 일들이 하나로 연결되어서 이루어진다.
그림이란 게 뭐냐? 어떻게 해야 그림을 잘 그릴 수 있을까? 그건 우리가 느끼는 것과 우리가 할 수 있는 것 사이에 서 있는, 보이지 않는 철벽을 뚫는 것고 같다. 아무리 두드려도 부서지지 않는 그 벽을 어떻게 통과할 수 있을까? 내 생각에는 인내심을 갖고 삽질을 해서 그 벽 밑을 파내는 수밖에 없는 것 같다. 그럴 때 규칙이 없다면, 그런 힘든 일을 어떻게 흔들림 없이 계속해 나갈 수 있겠니? 예술뿐만 아니라 다른 일도 마찬가지다. 위대한 일은 분명한 의지를 갖고 있을 때 이룰 수 있다. 결코 우연으로 되는 것이 아니다.
Tuesday, January 20, 2015
반 고흐, 영혼의 편지 중에서 (1)
반 고흐, 영혼의 편지를 읽고
+ 새장에 갇힌 새
- 나의 최종 목표가 뭐냐고 너는 묻고 싶겠지. 초벌 그림이 스케치가 되고 스케치가 유화가 되듯, 최초의 모호한 생각을 다듬어감에 따라 그리고 덧없이 지나가는 최초의 생각을 구체적으로 실현 해 감에 따라 그 목표는 더 명확해질 것이고, 느리지만 확실하게 성취되는 것이 아닐까?
-굳이 변한 것을 말하자면, 당시에 내가 생각했고 믿고 사랑했던 것을 지금은 더 생각하고 더 믿고 더 사랑한다는 것이다.
+ 개미를 사랑하게 되었다.
- "절대 안 된다"는 대답을 듣을 때 포기해야 할 것일까, 아니면 희망으 갖고 포기하지 말아야 할까.
나는 후자를 선택했다. '절대 안 된다'는 그녀의 입장 때문에 앞이 막혀 있는 건 사실이지만, 그 선택을 후회하지는 않는다. 그 때문에 '인생의 자잘한 고충'에 직면하게 되었다. 그런 고충을 책에서 접한다면 재미있을지도 모르지만, 직접 경험하고 보지 결코 유쾌하지 않다.
:
'어떤 일을 하지 않는 방법' 따위는 그럴 생각이 있는 사람들이나 배우라지. 너도 이런 경우에 우리가 할 수 있는 일, 해도 되는 일, 해야만 하는 일에 대해 말하는 것이 놀랄 만큼 어렵다는 건알고 있겠지, 여하튼 우리는 가만히 앉아서 빈둥대서는 안 되며 여기저기 돌아다니며너 뭔가를 찾아야한다 .
+ 씁쓸한 사랑
- 한 여인이 사랑의 성공 여부를 미리 계산해 본 후에 자신에게 접근하는 남자가 있다는 걸 알게 된다면, 어떤 반응을 보일지 상상해 보렴. 그녀는 "절대 안 된다"보다 더 극단적인 대답을 하지 않을까?
:
우리가 사랑에 빠졌다면, 그냥 사랑에 빠진 것이고, 그게 전부 아니겠니. 그러니 실의에 빠지거나 감정을 억제하거나 불빛을 꺼버리지 말고, 맑은 머리를 유지하도록 하자. 그리고 "신이여 고맙습니다. 저는 사랑에 빠졌습니다" 하고 말하자.
또 성공을 확신하고 접근하는 남자를 여자가 어떻게 생각할지 상상해 보자. 그 여자가 케이 같은 사람이라면 남자는 결코 성공할 수 없을 것이다. 설사 10만 길더를 가졌다 하더라고 "절대 안 된다"는 대답만 들을 것이다.
+ 사랑 없이는 살 수 없다.
- 내가 책을 읽는 이유도 그 책을 쓴 작가가 사물을 더 넓고 더 관대하게, 그리고 사랑으로 바라보고, 현실을 더 잘 알기 때문에 배울 것이 있어서이다. 그러나 선과 악, 도덕과 부도덕에 대한 군소리에는 정말 관심이 없다.
- 다른 누가 아니라 오직 그녀만을 원한다고 해놓고 이제 와서 다른 여자에게 가고 싶어하는 건 비이성적이고 비논리적이지 않느냐고 혼자 따져보기도 한다. 이렇게 대답할 수밖에 없겠지. 뭐가 중요하지? 논리인가, 나 자신인가? 논리가 나를 위해 존재하는가, 내가 논리를 위해 존재하는가?
+ 후회할 시간이 없다.
- 내가 추구하는 것은 특유의 분위기이다. 해질녘의 나른한 어스름을 배경으로 소녀의 머리와 작은 손에 깃든 빛과 생명을 드러내고 싶은 것이다.
+ 버림받은 여자를 돌보는 일
- 모베는 내가 "나는 예술가입니다"라고 말한 것을 못마땅하게 여겼다. 그러나 나는 그 말을 취소할 마음은 없다. 왜냐하면 나에게 그 말은 무엇인가를 온전하게 찾아낼 때까지 늘 노력하는 걸 의미하거든. 그건 "난 그것에 대해 모든 걸 알고 있습니다. 이미 그걸 찾아냈지요"라는 이야기와는 정반대되는 말이다. 나에게는 그 말이 "나는 무엇인가를 찾고 있고, 아주 열중하고 있다"는 걸 뜻한다.
-->
나에게 "교수입니다"란 말은 무엇인가를 온전하게 찾아낼 때까지 늘 노력하는 걸 의미한다. 그건 "난 그것에 대해 모든 걸 알고 있습니다. 이미 그걸 찾아냈지요"라는 이야기와는 정반대되는 말이다. 나에게는 그 말이 "나는 무엇인가를 찾고 있고, 아주 열중하고 있다"는 걸 뜻한다.
+ 새장에 갇힌 새
- 나의 최종 목표가 뭐냐고 너는 묻고 싶겠지. 초벌 그림이 스케치가 되고 스케치가 유화가 되듯, 최초의 모호한 생각을 다듬어감에 따라 그리고 덧없이 지나가는 최초의 생각을 구체적으로 실현 해 감에 따라 그 목표는 더 명확해질 것이고, 느리지만 확실하게 성취되는 것이 아닐까?
-굳이 변한 것을 말하자면, 당시에 내가 생각했고 믿고 사랑했던 것을 지금은 더 생각하고 더 믿고 더 사랑한다는 것이다.
+ 개미를 사랑하게 되었다.
- "절대 안 된다"는 대답을 듣을 때 포기해야 할 것일까, 아니면 희망으 갖고 포기하지 말아야 할까.
나는 후자를 선택했다. '절대 안 된다'는 그녀의 입장 때문에 앞이 막혀 있는 건 사실이지만, 그 선택을 후회하지는 않는다. 그 때문에 '인생의 자잘한 고충'에 직면하게 되었다. 그런 고충을 책에서 접한다면 재미있을지도 모르지만, 직접 경험하고 보지 결코 유쾌하지 않다.
:
'어떤 일을 하지 않는 방법' 따위는 그럴 생각이 있는 사람들이나 배우라지. 너도 이런 경우에 우리가 할 수 있는 일, 해도 되는 일, 해야만 하는 일에 대해 말하는 것이 놀랄 만큼 어렵다는 건알고 있겠지, 여하튼 우리는 가만히 앉아서 빈둥대서는 안 되며 여기저기 돌아다니며너 뭔가를 찾아야한다 .
+ 씁쓸한 사랑
- 한 여인이 사랑의 성공 여부를 미리 계산해 본 후에 자신에게 접근하는 남자가 있다는 걸 알게 된다면, 어떤 반응을 보일지 상상해 보렴. 그녀는 "절대 안 된다"보다 더 극단적인 대답을 하지 않을까?
:
우리가 사랑에 빠졌다면, 그냥 사랑에 빠진 것이고, 그게 전부 아니겠니. 그러니 실의에 빠지거나 감정을 억제하거나 불빛을 꺼버리지 말고, 맑은 머리를 유지하도록 하자. 그리고 "신이여 고맙습니다. 저는 사랑에 빠졌습니다" 하고 말하자.
또 성공을 확신하고 접근하는 남자를 여자가 어떻게 생각할지 상상해 보자. 그 여자가 케이 같은 사람이라면 남자는 결코 성공할 수 없을 것이다. 설사 10만 길더를 가졌다 하더라고 "절대 안 된다"는 대답만 들을 것이다.
+ 사랑 없이는 살 수 없다.
- 내가 책을 읽는 이유도 그 책을 쓴 작가가 사물을 더 넓고 더 관대하게, 그리고 사랑으로 바라보고, 현실을 더 잘 알기 때문에 배울 것이 있어서이다. 그러나 선과 악, 도덕과 부도덕에 대한 군소리에는 정말 관심이 없다.
- 다른 누가 아니라 오직 그녀만을 원한다고 해놓고 이제 와서 다른 여자에게 가고 싶어하는 건 비이성적이고 비논리적이지 않느냐고 혼자 따져보기도 한다. 이렇게 대답할 수밖에 없겠지. 뭐가 중요하지? 논리인가, 나 자신인가? 논리가 나를 위해 존재하는가, 내가 논리를 위해 존재하는가?
+ 후회할 시간이 없다.
- 내가 추구하는 것은 특유의 분위기이다. 해질녘의 나른한 어스름을 배경으로 소녀의 머리와 작은 손에 깃든 빛과 생명을 드러내고 싶은 것이다.
+ 버림받은 여자를 돌보는 일
- 모베는 내가 "나는 예술가입니다"라고 말한 것을 못마땅하게 여겼다. 그러나 나는 그 말을 취소할 마음은 없다. 왜냐하면 나에게 그 말은 무엇인가를 온전하게 찾아낼 때까지 늘 노력하는 걸 의미하거든. 그건 "난 그것에 대해 모든 걸 알고 있습니다. 이미 그걸 찾아냈지요"라는 이야기와는 정반대되는 말이다. 나에게는 그 말이 "나는 무엇인가를 찾고 있고, 아주 열중하고 있다"는 걸 뜻한다.
-->
나에게 "교수입니다"란 말은 무엇인가를 온전하게 찾아낼 때까지 늘 노력하는 걸 의미한다. 그건 "난 그것에 대해 모든 걸 알고 있습니다. 이미 그걸 찾아냈지요"라는 이야기와는 정반대되는 말이다. 나에게는 그 말이 "나는 무엇인가를 찾고 있고, 아주 열중하고 있다"는 걸 뜻한다.
Subscribe to:
Posts (Atom)